본문 바로가기
경제 · 제태크 · 정부지원정책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및 세금 계산 방법 소득세 공제 가이드 2025

by gomawoon 2025. 7. 8.

노후 준비는 빠를수록 좋습니다. 특히 국민연금은 대부분의 국민이 가입하고 있는 공적연금인 만큼,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집에서도 간편하게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을 알아보고, 실제 수령액에 영향을 주는 세금과 건강보험료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아래 글에 자세한 정보를 알려드리고 있으나, 바로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목차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 (PC)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nps.or.kr) 접속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2. 홈페이지 중앙의 [노령 예상연금액 조회] 클릭

 

3. 노후준비지원센터에서 로그인하기 클릭

 

4. 본인인증 후 로그인

5. 예상연금조회 메뉴에서 '예상연금액 보기' 클릭

6. 현재까지의 가입 기간과 납부액을 바탕으로 예상 수령액 확인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 (모바일 앱)

  1. ‘내 곁에 국민연금’ 앱 설치
  2.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3. 예상연금조회 메뉴 선택
  4. 현재까지 납부 내역을 바탕으로 자동 계산된 월 수령액 확인

 

 

 

 

국민연금 수령액, 어떤 구조로 계산될까?

국민연금은 가입기간이 길수록, 납부 금액이 높을수록 수령액도 증가합니다. 아래는 연도별 납부 예시입니다.

가입기간 월 납입금액 총 납입액 예상 월 수령액
10년 90,000원 1,080만 원 약 20~25만 원
20년 135,000원 3,240만 원 약 45~55만 원
30년 180,000원 6,480만 원 약 65~75만 원
40년 220,000원 10,560만 원 약 85~95만 원

 

 

 

국민연금 수령 시 세금은 얼마나 나올까?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에서 전부 세금이 부과되는 것은 아닙니다. 연금소득공제와 인적공제를 적용한 후 남은 과세표준에 대해 세율이 적용됩니다. 아래는 기본적인 계산 방식입니다.

  • 연금소득공제: 수령액이 770만 원 이하일 경우 전액 공제
연간 연금 수령액 구간 연금소득공제 금액 계산식
350만 원 이하 전액 공제
350만 원 초과 ~ 700만 원 이하 350만 원 + (초과분의 40%)
700만 원 초과 ~ 1,400만 원 이하 490만 원 + (초과분의 40%)
1,400만 원 초과 630만 원 + (초과분의 40%)

 

 

  • 과세표준: 총 연금액 - 공제금액 - 인적공제(150만 원)
항목 계산식
과세표준 계산식 과세표준 = 총 연금 수령액 - 연금소득공제 - 인적공제(본인 기준 150만 원)

 

  • 세율: 6%~45% (소득에 따라 차등 적용)
과세표준 구간 적용 세율
1,200만 원 이하 6%
1,200만 ~ 4,600만 원 이하 15%
4,600만 ~ 8,800만 원 이하 24%
8,800만 ~ 1억 5천만 원 이하 35%
1억 5천만 ~ 3억 원 이하 38%
3억 ~ 5억 원 이하 40%
5억 ~ 10억 원 이하 42%
10억 원 초과 45%

 


예를 들어, 연 2,400만 원 수령자의 경우 공제를 제외하고 1,520만 원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여기에 15% 세율이 적용되며 지방소득세까지 포함해 약 104.5만 원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B씨의 국민연금 세금 계산 예시

✅ 기본 조건

- 연간 국민연금 수령액: 1,800만 원
- 가족 구성: 본인 1인 (기본 인적공제 150만 원 적용)

 

① 연금소득공제 계산

연금소득공제는 다음과 같은 구간별 계산식을 적용합니다:

연간 연금 수령액 구간 연금소득공제 계산식
700만 원 초과 ~ 1,400만 원 이하 490만 원 + (초과분의 40%)
1,400만 원 초과 630만 원 + (초과분의 40%)

 

  • B씨는 1,800만 원을 수령하므로, 1,400만 원 초과 구간에 해당합니다.
  • 초과분: 1,800만 원 - 1,400만 원 = 400만 원
  • 공제금액: 630만 원 + (400만 원 × 40%) = 630만 원 + 160만 원 = 790만 원

 

② 과세표준 계산

과세표준 = 총 연금 수령액 - 연금소득공제 - 인적공제(150만 원)
  • 과세표준 = 1,800만 원 - 790만 원 - 150만 원 = 860만 원

 

③ 세금 계산

과세표준 구간  세율
1,200만 원 이하 6%

 

  • B씨의 과세표준은 860만 원 → 6% 세율 적용
  • 소득세 = 860만 원 × 6% = 51.6만 원
  • 지방소득세 = 소득세의 10% = 51.6만 원 × 0.1 = 5.16만 원

 

✅ 최종 납부 세금 및 실수령액

* 총 세금: 51.6만 원 + 5.16만 원 = 56.76만 원
* 실제 수령액: 1,800만 원 - 56.76만 원 = 1,743.24만 원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더 많이 받는 방법은?

  • 수령 연기: 수령 시기를 최대 5년 연기하면 매년 7.2%씩 증가. 총 36%까지 연금 증액 가능
  • 임의가입자 추가 납입: 보험료에 대해 비과세 적용으로 절세 효과 가능
  • 소득 및 자산 분산: 부부 간 연금 분산, 자산 자녀 명의로 분산 시 과세표준 축소
  • 건강보험료 절감: 국민연금의 50%만 반영되므로 보험료 부담 절반 수준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이 중요한 이유

국민연금은 만 65세부터 평생 지급되는 연금입니다. 예상 수령액을 미리 파악하면 퇴직 이후 생활 설계에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소득과 자산 수준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단순히 '얼마 받는가'가 아닌 '얼마나 실제로 수령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을 활용하면 단순히 숫자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소득구조를 미리 계획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국민연금은 단순한 국가 제도가 아닌, 개인의 안정된 노후를 위한 필수적인 기반입니다. 지금 바로 예상 수령액을 조회하고, 실수령액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세워보세요!